안녕하세요. '건강 한입'입니다.
오늘은 곶감의 효능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달달한 과일하면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저는 곶감과 홍시가 먼저 떠오르더라구요. 오늘 알아볼 곶감은 단감과 홍시보다 비타민의 함량이 더 풍부하다고 알려져있는데 베타카로틴, 비타민C, 칼륨, 칼슘 등의 영양성분이 뛰어나고 몸에도 좋고 맛도 좋습니다.
곶감은 완전히 익지 않은 단감을 껍질을 제거해 햇빛에 바짝 건조시켜 만든게 곶감인데 많은 영양성분이 들어있으며 감의 한 종류로서 단감보다 영양성분이 더 풍부하다고 합니다. 곶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곶감의 효능
1. 혈관건강
곶감은 혈관건강에 도움을 줍니다. 곶감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탄닌 성분이 혈관벽을 강하게 만들어주며 혈행을 개선시키 혈관건강을 튼튼히 하는 효과가 있씁니다. 또 곶감에는 칼륨 성분이 체내의 나트륨과 노폐물을 배출을 돕고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여 고혈압과 동맥경화와 같은 혈관질환 예방에 효과를 보입니다.
2. 피부미용
곶감은 피부에도 좋습니다. 곶감이 비타민C 성분이 콜라겐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하는데요. 콜레겐이 촉진되고 멜라닌색소가 피부침착을 방지함에 따라 피부의 잡티 등을 억제하고 좋은 피부를 유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탄탄한 피부로 만들어줍니다. 곶감을 먹으면 비타민 A, 비타민 C 성분이 풍부히 함유되어 있어 피부건강에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3. 면역력 향상
곶감은 면역력을 향상시켜줍니다. 곶감에 풍부한 탄닌 성분이 신진대사 및 혈액순환을 촉진시켜줌에 따라 세균 및 바이러스로부터 지키는 면역력을 길러줍니다. 곶감에는 비타민 C 성분이 풍부하기 때문에 면역체계 구성 및 증강에 좋은 도움이 됩니다.
4. 항산화효과
곶감은 항산화작용의 효과가 좋습니다. 곶감이 카로티노이드 및 플라보노이드의 항산화작용의 요소로 곶감에 함유되어있다 합니다. 플라보노이드의 항산화작용으로 산화스트레스에 대항해 세포손상 방지와 염증이 생기는 것을 방지해주며 관련 질환을 예방하는데 좋습니다. 카로티노이드, 베타카로틴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는 대사질환, 암예방에 효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5. 뇌 건강증진
곶감은 뇌 건강을 위해 좋은 효과를 발휘합니다. 뇌혈관이 확장되는 아스파르트산 성분과 뇌신경 전달에 좋은 글루탐산이 함유되어 있어 기억력을 회복시키는데 좋고 인지기능 향상에도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한 연구결과로 인해 밝혀졌습니다.
6. 기관지 건강
곶감은 기관지 건강을 높이는데 좋습니다. 곶감에 함유되어있는 탄닌 성분이 바이러스로부터 저항할 수 있는 면역력을 키워주고 곶감을 말릴 때 생기는 흰 가루가 있는데 민트니 성분이라고 합니다. 민트니는 갈증을 해소하며 가래를 삭힘과 동시에 기관지의 열을 내려 기관지 질환에 좋은 효과가 있습니다.
7. 숙취해소
곶감은 숙취해소에 효과가 있습니다. 곶감은 비타민C 성분 및 과당 성분이 숙취의 주원인인 아세트알데히드의 빠른 분해를 도와 손상된 간 회복과 숙취해소에 좋습니다. 또 곶감의 탄닌 성분은 알코올 흡수를 늦춰주고 위장의 열독을 빼주어 과음으로 생기는 숙취해소에 좋습니다.
8. 눈 건강
곶감은 눈 건강을 위해 좋은 식품입니다. 곶감에 풍부한 비타민A 성분은 시력보호와 눈의 피로를 해소시켜줍니다. 또 자욋헌으로 인한 눈 내부 망막세포가 손상되지 않도록 막고 시력이 향상되는데 도움을 줍니다.
9. 설사완화
곶감은 설사증상을 완화하는데 좋습니다. 곶감에는 탄닌성분이 들어있어 체내의 점막표면의 조직을 수축시키는 약리작용으로 설사를 멎게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렇다고 곶감을 너무 많이 먹으면 변비에 걸릴 확률이 높으니 주의해서 드시는 게 좋습니다.
곶감의 부작용
곶감은 탄닌성분이 많아 다량 섭취할 경우 변비증상에 걸릴 수 있으니 적당히 섭취하시는게 좋습니다.
곶감은 공복에 섭취할 경우 소화장애가 일어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건강하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토리의 효능 및 부작용 (0) | 2022.08.05 |
---|---|
마의 효능 및 부작용 (0) | 2022.08.04 |
도라지의 효능 및 부작용 (0) | 2022.08.02 |
암 예방에 좋은 베스트 항암식품 (0) | 2022.08.01 |
은행의 효능 및 부작용 (0) | 2022.07.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