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건강 한입'입니다.
오늘은 백복령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백복령은 소나무를 벌채하고 여러 해가 지나고나서 뿌리부터 기생해 영양분을 먹고 자라는 버섯을 말합니다. 백복령은 소나무 뿌리에서 서로 엉키며 성장하여 단단한 덩어리르 형성합니다. 이렇게 형성된 백복령은 뿌리가 붉은색은 적복령, 흰색은 백복령과 흰솔풍령으로 불립니다. 백복령은 오랜 옛날부터 각종 질병을 치료하는 한약재로서 많은 활용이 되어왔습니다. 자연산 백복령은 소나무 그루터기를 중심으로 쇠꼬챙이를 이용해 찾아야하고 수가 많지 않아 비싸기 때문에 재배 가능한 양식으로 저렴히 구매가 가능합니다. 백복령은 맛이 달고 독이 없으며 기운을 보한다고 해서 오래전부터 강장제로 쓰여왔습니다. 백복령의 효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백복령의 효능
1. 위장건강
백복령은 위장건강을 위해 좋은 약재입니다. 만성적인 위장질환을 치료해주는 약재로서 많은 이용이 되고있습니다. 위와 장의 기능 개선에 효과가 좋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백복령은 여름철의 식중독과 급성장염을 낫는데 좋은 효능을 발휘해 평소에 설사가 잦으신 분들에게도 좋습니다.
2. 골다공증 예방
백복령은 골다공증을 예방하는데 좋은 효능을 발휘합니다. 백복령에는 트리테르펜 성분과 스테로이드의 일종으로 에르고스테롤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백복령을 꾸준히 섭취하면 관절염 증상을 완화시키고, 갱년기 여성에게는 골다공증 예방효과가 크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3. 심신안정
백복령은 심신을 안정시키는 데 좋습니다. 백복령이 초조한 마음, 불안한 마음을 편안히 안정시켜주며, 예민한 신경을 안정시키는데도 좋습니다. 백복령은 불면증이 심할 때에도 신경을 안정시켜줘 수면의 질을 높여 숙면에 들 수 있도록 돕는다고 합니다.
4. 호흡기 건강
백복령은 호흡기 건강의 개선에 도움을 줍니다. 백복령은 진해작용을 통해서 가래가 들끓거나 호흡곤란 증상을 겪는 분들이 섭취할 경우 증상을 완화시켜주는 효과가 있으며 호흡기 건강을 위해 좋은 도움을 줍니다.
5. 산후풍 개선
백복령은 출산 후의 산모들의 산후조리에 좋은 도움을 줍니다. 임산부들은 출산 이후에 몸의 기가 약해지며 몸에 찬 기운이 들어옵니다. 관절이 아픈 산후풍 증상을 개선하는데 좋고 갱년기 증상도 완하시켜 임산부와 여자들에게 좋은 효과를 발휘합니다.
6. 피부건강
백복령은 피부건강을 지키는데 도움을 줍니다. 백복령의 풍부한 유기산 성분, 레시틴 성분은 피부 노화를 막고 피부탄력의 증진과 기미와 주근깨 등을 없애주어 윤기있고 탄력있는 피부로 개선되는데 좋은 효과가 있어 피부건강 관리에 좋습니다.
7. 당뇨개선
백복령은 당뇨예방에 좋은 효능이 있습니다. 백복령에 트리테르펜 성분과 콜린 성분이 췌장인슐린 분비를 돕고, 혈당수치를 낮게 조절시켜주어 백복령과 함께한다면 당뇨가 개선되고 예방되는데 효과가 있습니다.
8. 이뇨작용
백복령은 대표적으로 뛰어난 이뇨작용 효과가 좋습니다. 백복령을 섭취하면 소변의 배출이 원활해지며, 몸에 쌓인 노폐물과 독소를 효과적으로 배출시키고 노폐물로 인한 부종 증상이 일어나는데 개선시켜준다고 합니다. 소변이 원활하게 배출되면서 요도염과 신장염과 같은 질환에 좋은 효과를 느끼실 수 있습니다.
백복령 복용법
백복령은 가루를 내어 각종 음식에 첨가하여 드셔도 좋습니다.
백복령은 주로 차로 끓여 마시는게 일반적인데 물 1L에 백복령을 적당량 넣어 물에 약한불로 은근히 끓여 하루 2잔씩 마시면 좋습니다.
백복령의 부작용
백복령은 기본적으로 평이한 성질을 가져 크게 체질을 타지 않지만 몸이 찬 분들은 과다한 섭취는 지양하시는게 좋습니다.
이뇨작용이 매우 활발해지는 효능을 가지고 있어 신장질환을 가진 분들은 섭취에 주의하시는게 좋습니다.
하루에 15g 이상 섭취하지 않도록 하시는 게 좋습니다.
'건강하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치의 효능 11가지와 부작용 (0) | 2022.04.01 |
---|---|
진피(귤껍질)의 효능과 부작용 (0) | 2022.03.31 |
멍게의 효능 10가지와 부작용, 고르는 법 (0) | 2022.03.29 |
다슬기의 효능 9가지와 부작용 (0) | 2022.03.28 |
용과의 효능과 먹는 법, 부작용 (0) | 2022.03.27 |
댓글